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투자

미국주식 cpi(소비자물가지수)예상치 상회- 폭락후 반등 이유는? 어떻게 대응 할까?

by slothk 2022. 10. 14.
반응형

■ 9월 소비자 물가지수 발표후 급락후 반등

9월 미국 CPI(소비자 물가지수) 8.2%, Core CPI 6.6%로 예상치를 0.1%, 0.2% 상회했다. 역시나 발표 직후 장대음봉이 떳다.

CPI 발표직후 에스앤피500 주가흐름

요즘 월가 cpi 예상치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는 cleveland fed의 cpi예상치를 봤을 때는 9월 cpi는 기대하기는 어려웠다.(아래의 클리블랜드 연준 예측치 참조) 필자는 sqqq로 약간의 헤지를 했지만 클리블랜드 연준을 믿고 비중을 더 실어야 했지만.. 장대음봉에 놀란 감정을 추스르고 바로 sqqq 익절 했다. 그래도 현재는 다음 달 cpi는 8.12%로 전월대비 0.08% 소폭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참조: cleveland fed cpi 예상

이번 cpi 발표 세부내역이다.
* 9월 CPI (소비자물가지수) 예상치 상회
- 헤드라인 CPI MoM + 0.4% (예상치 +0.2%, 전월 +0.1%), YoY +8.2%(예상치:+8.1%, 전월: +8.3%)
- core CPI (변동성이 심한 음식과 에너지 제외) MoM +0.6%(예상치:+0.4%, 전월:+0.6%), YoY +6.6% (예상치: +6.5%, 전월 +6.3%)

o 음식 가격 전월대비 +0.8%
o 에너지 가격 전월대비 -2.1%
o 중고차, 트럭 가격 전월대비 -1.1%
o 신차 가격 전월대비 +0.7%
o 의류 가격 전월대비 -0.3%
o 운송서비스 가격 전월대비 +1.9%
o 주거비용 전월대비 +0.7%
- 시간당 실질 평균 임금 전년 동기 대비 -3.0% (전월: -2.8%)
- 주간당 실질 평균 임금 전년 동기 대비 -3.8% (전월: -3.4%)

소비자 물가지수에서 주거비용과 음식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못했다. 큰 이벤트가 있기 전에는 큰 기대는 어려울 듯하다. 경제 전반에 인플레이션이 끈적하게 붙어있어서 전체 물가 항목 평균이 떨어지려면 더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장 마감 1시간 전(새벽 4시) 약간의 반등이라도 했나 확인을 했는데 두둥! 나스닥이 양전을 했는데 거의 3프로 가까이 오르고 있었다.

아니 무슨 일이야?(이렇게 망한 날에!) 반전 이벤트라도 생긴줄 알았지만 cnbc기사를 뒤적거려도 유튜브를 봐도 딱히 호재는 없어 보인다. 시총 1,2위인 애플, 마소가 크게 상승하고 최근 안 좋았던 반도체 종목이 반등하여 상승을 주도하고 있었다.

 

■ 하락장 반등시 헤지전략은 SQQQ

9월 cpi발표로 물가는 전혀 잡히지 않았고 연준의 매파적인 스탠스(rate hike)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며 무엇보다 걱정스러운 건 실적시즌이 다가왔다는 것이다. 필자는 일시적인 반등으로 생각되어 헤지 용도로 sqqq를 다시 매수했다. 주식 예측은 안 맞을 때도 있지만 데드켓 바운스로 생각되어서 매수를 했다. 확률이 높다고 생각되면 감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헤지 하는 것은 좋다고 생각한다.
코로나 시기 20년, 21년 상승장에는 하락시 줄곧 반등이 나와주었기에 트레이딩 목적으로 fngu(빅테크 3배 레버리지), bulz로 play를 했지만 이번 하락장에는 반대로 상승후 하락하는 페턴이 이어졌기에 sqqq(나스닥 100 역방향 3배 레버리지)로 상승할 때 사고 하락할 때 파는 방식으로 트레이딩(샀다가 팔았다)하고 있다. 확실히 상승장, 하락장으로 돌입했을 때 레버리지 etf를 하는 것이 안정적이다. 하락장에서 앞에서 언급한 fngu, bulz, soxl를 취급하는 것은 너무 리스크 해 보인다.
장기투자를 통하여 하락장을 극복하거나 바닥 예상 시점에 분할매수를 통해서 주식수량을 늘리는 것도 보다 확률 높은 결정을, 나은 결정을 위한 전략이라고 생각한다.
3분기 빅테크 기업 실적이 궁금해진다. 특히 테슬라 3분기 실적과 트위터 인수는 어떻게 마무리될까? 이에 대비하여 현금 비중을 유지해야 하겠다.

일론이 트위터 인수를 위해서 향수를 팔고 있다고 하여(농담이지?) 테슬라 주주분들이 십시일반으로 향수를 사고 있다는데 필자도 사고 싶지만 테슬라 주가 200이 깨지면 한주라도 더 사야겠다.


■ 다음날(10.15) 증시 상황 업데이트

하락장의 악몽인 상승후 하락하는 페턴이 이어졌다. 어제 반등했던 상승분을 토해내었다. 급락으로 인하여 sqqq는 다시 상승(8.92%)하여 대부분 매도하였다. 10년물 금리는 이제 4%를 찍었다. 성장주에 매우 어려운(요즘은 전부 어려운;;) 상황이지만 이 또한 시간이 해결해줄 것이다.





반응형

댓글